한부모가정 또는 한부모가족이라는 의미는 엄마, 자녀 또는 아빠, 자녀의 구성원으로 이뤄진 가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가정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청방법과 혜택에 대해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대상
한부모가정 지원금 대상은 의미 그대로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청소년 한부모 가족이 본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족의 기준은 처음 말씀드린거처럼 모자 or 부자 구성원으로 이뤄진 가족이며 조손가족은 부모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양육하는 가족의 형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한부모 가족은 부모의 나이가 만 24세 이하인 가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의 형태가 위와같다고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것이 아니고 자녀나 혹은 손자녀의 나이가 만 18세 미만이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취학을 했으면 만 22세 미만이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선정기준
한부모가정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라면 지원금은 기준에따라 차등지급을 하고 있습니다. 기준을 충족한다고 무조건 지원금 대상자로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소득, 재산을 국가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가장먼저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한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이어야합니다.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급여지급 기준, 60% 이하)
-청소년 한부모 가족 : 기준 중위소득 72% 이하(급여지급 기준, 65% 이하)
급여를 받 위해서는 급여지급 기준도 충족해야 받을수 있으므로,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여야 안전하게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 중위소득 기준 총정리
국가에서 시행하는 정책, 제도 등을 신청할 때 기준 중위소득 xx% 이하라는 조건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이 기준을 신청할 때에는 본인의 소득 기준을 알아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2년 올해 중위
newscatch.kr
한부모가정 지원금 혜택
한부모가정 지원금의 혜택은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대상자로 선정이되면 아동 양육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동 양육비는 만 18세 미만일때만 받을 수 있으니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청소년 한부모 가정인경우에는 부모가 어리기 때문에 취업이나 학업을 할 수 있는 자립촉진수당과 검정고시를 편하게 볼 수 있게 학습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소득 한부모, 조손가족에게는 학용품비, 추가 아동양육비, 생활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지급하는 혜택이 다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이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방법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복지로( tbu/app/main/Main (bokjiro.go.kr))에 접속하셔야 합니다. 접속하시고 난뒤 서비스 목록에 한부모, 조손을 선택할 수 있는 칸이 보이실겁니다.
한부모, 조손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상황에 맞는 복지서비스가 조회가 됩니다. 스크롤을 쭉 내리시다 보면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탭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탭을 확인하셔서 지원금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말고 일반 검색창에 한부모가정지원금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했을경우 지자체 혹은 중앙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여러가지 서비스를 조회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자체 혹은 중앙부처를 확인하시고 위에서 말씀드린 지원금 외에 다양한 혜택을 신청하시면됩니다.
지원금 신청할 수 있는 기준이 중위소득 60% 이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중위소득 60% 이하는 상당히 높을거라 생각하는데, 생각보다 기준금액이 작습니다.
이 부분을 완화하고자 기준 중위소득을 63%이하로 24년에 완화 할 예정입니다.
또한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자녀가 만 18세 미만이어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동양육비 같은 경우 자녀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경우에는 고등학교 3학년에 다니느 12월까지 지원이 가능한걸로 변경 되었습니다.
아동양육비 금액도 인상되는 희소식이 있는데요. 23년 현재 기준으로 아동양육비 지원금액은 자녀 1명당 20만원으로 지급되고 있는데 1만원 인상된 금액인 21만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1만원의 금액은 작을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혜택이 있다는걸 알고 계시면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애를 키우기에는 물가도 점점 오르고 삶이 팍팍해서가 아닐까요?